본문 바로가기

WEB/배경지식

웹의 동작 방식

img

용어 정리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전송 제어 규약) / Internet Protocol(인터넷 규약)
  • 데이터가 어떻게 웹을 건너 돌아다녀야 하는지 정의하는 통신 규약
  • DNS: Domain Name System Servers(도메인 이름 시스템 서버)
    웹사이트를 위한 주소록. 웹 주소가 입력되면, 브라우저에서는 웹사이트를 검색하기 전에 DNS를 살펴본다.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언어 정의하는 어플리케이션 규약
  • 컴포넌트 파일
    • 코드 파일: HTML, CSS, JavaScript 등
    • 자원: 이미지, 음악, 비디오 등

브라우저에서 일어나는 일

  1. DNS 주소로 가서 웹사이트가 있는 서버의 진짜 주소 찾기
  2. 서버에게 웹사이트의 사본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달라는 HTTP 요청 메세지 전송(TCP/IP)
  3. 메세지를 받은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승인, "200 OK" 메세지를 클라리언트에게 전송. 웹사이트의 파일들을 데이터 패킷이라 부르는 작은 일련의 덩어리들로 브라우저에 전송
  4. 브라우저는 작은 덩어리들을 웹사이트로 조립해서 보여준다

DNS

IP주소는 웹의 하나뿐인 특정 위치를 나타낸다. IP주소는 숫자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어 기억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도메인 이름 서버가 발명되었다. 도메인 이름 서버는 웹주소를 실제 IP주소에 맞춰주는 서버다.

패킷

데이터가 웹을 거쳐서 전송될 때, 수천개의 작은 덩어리(패킷)들로 전송된다. 따라서 다양한 웹 사용자들은 동시에 같은 웹 사이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Getting_started_with_the_web/How_the_Web_works